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미래로
19세기 이후, ‘분과학문’으로서의 과학(science)은 역사상 유래가 없는 성공 신화를 써내려 왔습니다. 각 전문 영역별로 세분화된 학문 추구의 방식은 자연과학을 넘어 인문 사회과학 분야에까지 파급되었고, 대량생산과 분업화에 기초한 현대 자본주의를 뒷받침하는 효율적인 학문 추구의 방식으로 자리매김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그 시대가 서서히 종말을 맞이하고 있음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파도는 전통적 산업 환경을 근본부터 뒤흔들고 있으며, 그것은 대학 사회 전반에도 과감한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전남대 자율전공학부는 이 같은 사회적 흐름에 대응하여, 전공 중심의 전통적 학과 체제의 벽을 허물고, 학생 본인이 직접 설계에 참여하는 융복합 전공을 기초로 2010년에 태동했습니다.
자율전공학부는 학생이 직접 전공 설계에 참여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종래 대학 사회는 정해진 전공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정작 자신의 적성과 전공 사이에 불일치를 겪고 방황하는 목소리가 많았습니다. 자율전공학부는 그런 시행착오를 극복하기 위해 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고, 교수와 함께 전공을 찾아가는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자율전공학부는 학생의 관심과 문제 의식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전통적인 대학 교육은 전공이라는 벽에 기대어 학생들에게 미리 설계된 수업들을 제공해왔습니다. 그러나 작금의 사회는 시시각각 새로운 문제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탄력성과 지속 가능한 인재들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전공학부는 학생이 느끼는 관심과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는, 철저한 학생 중심의 교육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전공 중심의 전통적인 학과 시스템이 해체되어 가고 있는 작금의 시대에 이 같은 자율전공학부의 교육 목표는 우리 대학 사회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 줄 것입니다. 자율전공학부의 교수진들은 학생들이 스스로의 문제의식과 관심을 창의적으로 꽃피우고,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준비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울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그 시대가 서서히 종말을 맞이하고 있음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파도는 전통적 산업 환경을 근본부터 뒤흔들고 있으며, 그것은 대학 사회 전반에도 과감한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전남대 자율전공학부는 이 같은 사회적 흐름에 대응하여, 전공 중심의 전통적 학과 체제의 벽을 허물고, 학생 본인이 직접 설계에 참여하는 융복합 전공을 기초로 2010년에 태동했습니다.
자율전공학부는 학생이 직접 전공 설계에 참여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종래 대학 사회는 정해진 전공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정작 자신의 적성과 전공 사이에 불일치를 겪고 방황하는 목소리가 많았습니다. 자율전공학부는 그런 시행착오를 극복하기 위해 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고, 교수와 함께 전공을 찾아가는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자율전공학부는 학생의 관심과 문제 의식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전통적인 대학 교육은 전공이라는 벽에 기대어 학생들에게 미리 설계된 수업들을 제공해왔습니다. 그러나 작금의 사회는 시시각각 새로운 문제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탄력성과 지속 가능한 인재들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전공학부는 학생이 느끼는 관심과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는, 철저한 학생 중심의 교육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전공 중심의 전통적인 학과 시스템이 해체되어 가고 있는 작금의 시대에 이 같은 자율전공학부의 교육 목표는 우리 대학 사회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 줄 것입니다. 자율전공학부의 교수진들은 학생들이 스스로의 문제의식과 관심을 창의적으로 꽃피우고,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준비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울 것입니다.
전남대학교 자율전공학부장김성근(과학사, 과학철학 전공)